과학고를 지원하는 학생이 꼭 거쳐야 할 단계 중 하나는 자기소개서를 작성입니다. 예전에 비해 영향력이 줄었지만, 자기소개서는 대학입시 수시 전형에서 아직까지 중요한 평가 요소 중 하나입니다.
자기소개서 항목은 과학고 입시든 대입 수시 학생부종합전형이든 거의 같습니다. 회사에 지원하는 자기소개서와도 큰 차이가 없습니다. ‘지원하는 분야를 위해 노력한 과정과 그를 통해 얻은 (잠재) 능력’이 핵심입니다.
자기소개서를 작성할 때 고려할 사항을 알아봅니다. 또 자기소개서가 입시 전체에서 갖는 의미를 되짚어보며 입시 전략을 세웁니다.
지원 분야 잠재 능력이 핵심
아래 표는 ▲과학고 입시 ▲과학영재학교 입시 ▲대입 수시 학생부종합전형에서 요구하는 자기소개서 작성 항목입니다. 과학고 자기소개서 문항은 비슷하고 과학영재학교는 학교별로 조금씩 다릅니다. 대입 자기소개서의 경우 1~3번 문항에서 대교협 공통문항 양식을 사용하고, 4번은 대학별 자율 문항입니다.
자기소개서 작성 항목은 크게 네 가지 질문으로 요약됩니다.
1) 지원학과 또는 지원하는 고교 유형과 연관된 학습(탐구) 경험과 느낀 점
2) 의미를 두고 노력했던 교내활동을 통해 배우고 느낀 점
3) 지원 동기 및 입학 후 학업 및 진로 계획
4) 학교생활 중 배려, 나눔, 갈등관리 등을 통해 배우고 느낀 점
1, 2, 3번 항목에서 원하는 평가 목표는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지원학과 또는 지원하는 고교 유형에 얼마나 적합한 능력을 갖추었느냐입니다. 그것을 보여주는 자료가 학교 성적 및 변화 경향, 과목별 학업 성적, 관련 활동입니다. 이런 내용은 학생부에 나와 있습니다.
그렇다면 자기소개서를 읽고 무엇을 평가할까요. 학생부에 나와 있지 않은 과정을 보기 위함입니다. 어떤 방식으로 깊이 있게 파고들어 공부했는지, 어떤 문제에 관심을 가졌으며 어떻게 궁금증을 해결했는지를 알아보는 것입니다.
경쟁 치열할수록 지원 분야 연관성 중요
과학고 입시에서 자기소개서 평가 점수가 학교 성적을 뛰어넘을 수 없습니다. 수학·과학 및 다른 교과 성적은 학업 능력 및 성실성을 보여주는 자료입니다. 즉, 지원자가 어떤 학습 태도를 지녔고 학교생활에서 얼마나 변화될지를 가늠하는 자료일 수 있습니다.
경쟁이 치열한 고교나 지원학과라면 자기소개서가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우수한 능력을 갖춘 학생들이 많이 지원하기 때문이죠. 일정 범위의 성적대를 정해놓고 여러 요소를 평가하는 것입니다.
과학고와 과학영재학교에서 자기소개서 비중은 어떻게 될까요. 과학고에서 자기소개서 비중이 큽니다. 과학영재학교는 한두 고교를 제외하고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습니다. 자기소개서 질문 내용이나 개수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과학영재학교는 영재성 검사라는 중요한 잣대가 있기 때문입니다.
과학고는 수학, 과학 분야에서 잠재력이 있거나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은 학생이 지원합니다. ‘수학에서 B를 받았는데 지원해도 될까요’ 같은 질문을 듣습니다. 한번 B를 받았다고 해서 학생이 수학을 못한다고 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B를 넘어설 만큼 뛰어난 탐구 경험이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한 분야를 파고들었거나 엄청난 독서량을 지녔다는 것을 보여주어야 합니다. 평가자의 눈에 띄어 1단계를 통과해도 면접에서 입증하지 못하면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학교생활 중 배려, 나눔, 갈등관리 등을 통해 배우고 느낀 점을 쓰시오’라는 질문은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항목입니다. ‘지원 동기와 입학 이후 학업계획’도 마찬가지입니다. 이 항목은 지원자가 고교의 특성 또는 지원학과에 대해 얼마나 잘 이해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함입니다. 두 항목은 학생 평가 기준에서 큰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탐구 경험에 무엇을 써야 할까요. 중학생, 고등학생이 하는 학습 경험과 활동은 큰 차이가 없습니다. 너무 두려워할 필요가 없어요. 차이가 있다면 목표가 분명하고 고민을 많이 한 흔적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것을 찾아내 쓰도록 도와줄 필요가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 GIB>
※ 필자소개 | 박은정 ejpstory@gmail.com 과학교육을 전공하고 IT 및 소프트웨어교육 전문기자, 과학동아에서 영재학교·과학고 및 이공계대학 진로진학 전문기자로 일했다. 교육 전문기자로서 동아일보 교육섹션을 만들며 대입 학생부전형, 자기소개서, 면접 등에 관한 정보를 전달했다. 초·중·고 입시와 학습 및 대학 이공계·의학관련 계열 진로진학을 위한 교육 설계를 지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