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 스토어

알파맘 비밀노트
바쁜 엄마를 위한 BEST 핵심!
초등 저학년, 초등 고학년, 독서·글쓰기
[초등] 과학 이슈를 빠르게 습득할 수 있는 과학잡지
2022.05.20


    

 

 

 

 


이 문제의 정답은 무엇일까요? 정답은 ②번이에요. 중심 질량에는 거대한 블랙홀이 있다. 2022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과학 탐구의 지구과학 영역에서 출제된 문제에요. 문제를 보면 ‘그냥 문제구나.’ 하며 흘려보낼 수도 있어요. 그런데, 이 문제의 배경을 살펴보면 꽤 흥미로워요. 왜냐하면, 최근의 연구 성과와 관련한 주제가 시험에 나온 셈이니까요.

 

2021년 3월.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65개의 연구기관에서 300명 이상이 참여하는 국제 공동프로젝트 ‘사건지평선망원경(EHT)’ 연구팀은 지구에서 5,500만 광년 떨어진 처녀자리 은하단의 가운데에 있는 M87 은하를 관측했어요. 이때, ‘편광’ 현상을 처음으로 관측한 영상을 천체물리학저널에 공개했지요. ‘편광’ 현상은 블랙홀에서 강력한 자기장이 존재한다는 근거가 되는 현상이에요.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살펴보면 위의 문제처럼 사회탐구나 과학 탐구 영역에서는 이슈가 되는 주제들이 문항에 등장하고는 해요. 아무래도 공부라는 것이 최근의 동향과 동떨어질 수는 없으니까요. 

 

 

 

이슈를 업데이트하기

 

교과를 공부하다 보면 문항에 나오는 은하들을 사진으로 보면서 공부하는 시간도 있어요. 공부하지 않은 문제가 수능에 나오지는 않을 테니까요. 문제는 그렇게 광범위한 교과과정을 아이들이 중고등학교 때 모두 소화해야 한다는 사실이지요. 하나하나를 따져보면 흥미롭고 이해가 가능할 수 있지만, 입시에 나오는 모든 개념을 소화하는 것은 버거운 일이에요. 학습량이 만만치 않으니까요. 그래서 이슈가 되는 사건들은 그때그때 접하게 하거나 미리 배경지식으로 넣어 두어서 학과 공부를 할 때, ‘아~ 그거였구나.’라는 느낌이 들도록 해주는 것이 좋아요. 한 번에 이해되지는 않아도 이전에 한두 번씩 접했던 것들은 이해하기 쉬우니까요. 

 

 

 

 

어려운 과학 문제를 하나씩 풀어나가는 것은 어려운 일이지만 흥미로운 자료를 통해 과학을 접하게 해주는 것은 쉬운 일이에요. 어린이과학동아의 관련 지문을 보면 은하 M72의 사진과 함께 설명이 나와 있어요. ‘블랙홀에서 방출되는 물질인 제트’, ‘2019년 인류가 최초로 관측한 블랙홀 ’포웨히‘는 은하 M87의 중심부에 있다.’ 이 두 가지의 사실만 알고 있어도 아이들은 앞에 나온 문제의 답을 추리해낼 수 있어요. 흥미로운 지문을 읽으면서도 어려운 지구과학 공부를 하는 셈이에요. 이슈를 다루고 있는 어린이과학동아 같은 잡지를 통해서 흥미있는 주제를 알도록 해준다면 과학에 대한 흥미도 유지하면서 입시에도 도움이 될 거예요.

 

 

 

필자소개: 이진혁 교사는 교육총경력 18년차 현직 초등 교사이자 5, 6학년 아들 형제를 키우는 학부모이다. 현재 경기 구룡초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으며, <초등 집공부의 힘>, <초등 아들 첫 습관의 힘>, <아들을 잘 키운다는 것> 등 3권의 책을 집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