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이걸 배워서 어디에 써요?"
고학년으로 올라가면 수학은 사칙연산 위주의 산수 영역을 벗어나기 시작합니다. 자연스럽게 실생활의 맥락과 벗어나기 시작하고 내용도 어려워지죠.
이때 학생들이 가장 많이 하는 말이 바로 이걸 배워서 어디다가 사용하냐는 질문이죠. 사실 맞는 말이에요.
원기둥의 부피나 겉넓이를 실생활에서 구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하지만 수학교과는 실생활에 필요한 계산 능력 뿐만 아니라 논리적인 사고력을 기르기 위한 과목이랍니다.
이렇게 전환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수학 과목에 대해 배울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며 수학 과목을 포기해버리기도 합니다.
학교 현장에서는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는데, 그 중 방탈출이라는 형식을 소개해 드리려 합니다.
방탈출이 무엇인가요?
방탈출이란 제한된 시간, 장소에 참가자들을 가둬두고 문제를 풀면 나가게 해주는 놀이 유형 중 하나입니다.
우리에게 예능 대탈출, 여고추리반 시리즈로 더욱 친숙하게 다가오면서 방탈출 카페라는 일반 사람들도 즐길 수 있는 공간이 많이 생기기도 했습니다.
번화가에서 볼 수 있는 방탈출 카페에서는 복잡한 자물쇠나 기계장치를 이용하기도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는 선생님에게 답을 말하게 하거나 간단한 학교에서 자주 쓰는 자물쇠를 사용하기도 하지요.
방탈출 상황에서 참가자들은 이 공간을 탈출하기 위해 협력해야 하고 문제를 풀어야만 합니다.
3+4는? 이라는 질문을 보면 재미가 없지만, 이 방을 탈출하기 위해 그림 속 사슴과 다람쥐의 수를 모두 합쳐 열쇠에 입력해야 한다면 단순한 더하기도 재미있게 할 수 있죠.
이처럼 방탈출 상황에서 유도하고자 하는 가장 첫 번째 기능은 학생의 몰입입니다. 복잡하고 어려운 수업 내용에 낯선 상황을 제시해서 동기부여를 강하게 주는 것이지요.
또한 방을 탈출하기 위해서는 자세하게 문제의 규칙성을 파악하며, 사소한 점도 잘 관찰해야 하고, 또 동시에 배운 내용을 적용하는 직관을 가져야 합니다. 아래 간단한 문제를 볼까요?
간단한 덧셈 문제로 보이지만 세 번째 식부터 이상한 점이 눈에 띕니다. 5+8이 1이 되었네요. 답을 찾으셨나요?
배경에 흐리게 숨어 있는 것처럼 이 문제는 시간의 합을 의미하는 문제였습니다.
2시에서 3시간이 지나면 5시, 3시에서 5시간이 지나면 8시, 5시에서 8시간이 지나면 1시이니 7시에서 9시간이 지나면 4시가 되겠네요. 정답은 4입니다.
숫자의 규칙에서 이상한 점을 깨닫고, 약간의 관찰력이 있으면 배경의 시계에서 힌트를 찾아 풀 수 있는 문제였습니다.
이러한 관찰력, 배운 것을 적용하는 능력은 방탈출 게임 뿐만 아니라 학생이 스스로 주도하는 자유탐구나 프로젝트 학습의 산출물을 만들어내는 과정에서 전반적으로 필요한 능력입니다.
물론 방탈출만 한다고 산출물을 뚝딱 만들어내는 것은 아니지만 관찰하고 적용하는 힘을 잘 길러둔다면 반드시 도움이 될거예요.
집에서 간단하게 할 수 있는 방탈출 보드게임
그럼 아이와 함께 집에서 방탈출을 즐길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방탈출이 세계적으로 유행하면서 다양한 방탈출 보드게임도 발매되었습니다.
다양한 시리즈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처음 어린이와 함께 한다면 이스케이프룸 시리즈의 이스케이프 룸 패밀리를 추천합니다.
이스케이프룸 시리즈는 암호 해독기라는 건전지로 작동하는 기계가 포함되어있습니다. 1장부터 시작하여 문제를 풀면 4개의 알맞은 열쇠를 찾아서 꽂아야 하죠.
기계가 타이머와 정답 판독기 역할을 해줍니다. 이스케이프룸 시리즈는 1, 2, VR, 미니, 패밀리까지 다양한 시리즈가 발매되어 있습니다.
이 중 이스케이프룸 패밀리는 난이도도 쉽고, 방탈출에서 자주 등장하는 탈옥과 같은 아이들에게 소개하기 망설여질 수 있는 주제에서 자유롭습니다.
다만, 주의할 점은 거의 모든 방탈출 보드게임은 일회용이라는 점이에요. 한번 깬 다음에는 이미 답을 알게 되기 때문에 다시 플레이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아이들과 색다른 놀잇감을 통해서 문제 해결의 기쁨을 누리게 하고싶다면 방탈출 보드게임으로 함께 시간을 보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
저자
이가영 교사
(이미지 출처: 비바샘)
수내초등학교 영재학급 지도강사 (2018~2020)
성남매송초등학교 영재학급 지도강사 (2019)
2022학년도 경기미래영재교육원 창의융합상상소 지도교사
수내초등학교 SW자율동아리 프로젝트 지도 (2019~2020)
경기도 융합과학교육원 교육용 융합자료 영상 개발 (초 5,6수학)
서울특별시교육청연수원 2021 초등 재미와 의미를 다잡는 게임형 수업 연수 (2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