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 스토어

알파맘 비밀노트
바쁜 엄마를 위한 BEST 핵심!
초등 저학년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스마트폰 중독 예방, 디지털 밸런스 맞추는 7가지 꿀팁!
2022.09.19

 

 

우리 아이의 하루 잠깐 들여다보기 

 

맛있는 저녁 식사 후, 학교 숙제를 하기 위해 컴퓨터를 켰습니다.

인터넷을 하는데 갑자기 스마트폰으로 SNS 알림이 옵니다. SNS에는 친구들이 공유한 유튜브 영상 링크가 있습니다.

이 영상을 보다가 연관 동영상에 뜬 ‘사탕을 먹는 30가지 방법’이라는 제목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그렇게 연관 동영상들을 보고 또 연관 동영상을 봅니다. 시간을 아끼기 위해 최 대한 재생 바를 옮겨가며 영상을 빠르게 훑어봤지요.

그런 뒤 다시 숙제하기 위해 마음을 가다듬고 컴퓨터로 돌아왔어요. 그런데 자료를 찾아보려고 인터넷 검색을 하다가 또 흥미로운 뉴스 기사를 발견합니다.

‘우리 동네 강도 출몰’이라는 기사를 보고 스크롤을 내리다, 그 밑에 있는 ‘유명 브랜드 사탕 파격 세일’이라는 광고를 봅니다.

“오~, 아까 본 사탕인데? 신기하다. 하지만 이제 는 정말 숙제해야겠다”라고 생각하곤 다시 바탕화면을 눌러 과제물을 클릭합니다.

그러다 순간 ‘노래 들으면서 해야지’라는 생각이 들어 유튜브를 켜다가, 유튜브 추천 영상을 하나씩 또 클릭하여 보기 시작합니다.

 

 

이렇게 스마트폰이나 인터넷 사용을 절제하기 어려운 현상을 ‘디지털 과의존’이라고 하지요.

지금 이 이야기, 혹시 우리 아이 이야기 같지 않나요? 공부해야 하는데, 숙제해야 하는데, 그럴 때마다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속 영상, SNS가 너무 재밌게 느껴져 도저히 멈추기가 쉽지 않아요.

‘조금만 더’ 하다 보니 어느새 잘 시간이 다가오고, 정작 꼭 해야 할 숙제 는 오늘도 얼렁뚱땅 내 일로 넘기고 말죠. 밤 늦은 시각에 잠들며 기분 이 썩 좋지 않습니다. 대체 왜 이런 걸까요?

 

 

 

우리의 뇌는 계속 진화 중, 디지털 밸런스 조절이 필요한 이유! 

 

‘디지털 세상과 실제 세상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을 디지털 밸런스라 합니다.

우리가 디지털 밸런스를 맞추지 못하고, 계속 스마트폰을 보는 이유 중 하나를 보 여주는 흥미로운 뇌과학 연구가 있습니다.

스웨덴 정신과 의사 안데르스 한센은 뇌가 스마트폰이라는 디지털 미디어에 최적화되어 있지 않아서라고 했지요.

비유하자면 진화는 아주 오랜 시간에 걸쳐서 진행되는 생명체의 업데이트 과정입니다. 우리의 뇌도 스마트폰처럼 수시로 업데이트가 되면 좋겠지만,

인류의 뇌는 1만 년 전 원시 인류의 뇌에서 지금껏 업데이트 중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상상해 보세요. 1만 년 전 인류의 조상은 동물을 사 냥하며, 혹은 사냥의 위험에서 도망치며 살았습니다. 온종일 돌아다니고 실패하다 비로소 동물을 한 마리 사냥하던 즐거움!

아주 힘들게 길러서 딴 열매를 먹었을 때의 달콤함!

그때 우리 뇌 속 신경계는 도파민과 같은 달콤한 호르몬을 분비합니다. 그렇게 의욕과 동기부여도 생기는 것이죠. 문제는 현대 인류의 뇌가 1만 년 전 원시 인류의 뇌 와 비슷하다는 겁니다.

그땐 하루에 한 번 나올까 말까 하던 도파민이 현재는 재미가 가득한 스마트폰에 의해 지나치게 자주 많이 분비되고 있습니다.

도파민에 중독된 뇌는 이제 점점 더 많은 자극을 원하며, 중독 현상을 일으키는 거예요. 왜 우리가 디지털 밸런스를 조절하기 힘든지 조금 이해가 가나요?

 

 

디지털 밸런스를 맞추려면?

 

디지털 밸런스를 조절하는데 계속 실패하면 각종 부작용에 시달릴 수 있어요.

단순히 학업에 지장을 주는 것을 넘어, 디지털 과의존 및 중독에 처하고, 손목이나 목의 통증, 수면 부족, 우울증 등도 겪을 수 있지요.

이제 막 디지털 세계를 여행하기 시작한, 진화 업데이트가 느린 뇌를 보호하기 위해 아이의 디지털 밸런스는 과연 어떻게 조절해야 할까요?

 

 

 

1. 우리 아이 스마트폰 사용 시간을 체크하자.

ZEM과 같이 사용 시간, 빈도를 알려주는 앱을 활용하세요.

 

2. 집중력이 필요한 일을 할 때는 스마트폰을 다른 방에 두도록 해주세요. 

 

3. SNS나 인터넷을 할 시간을 정하세요.

1시간에 2~3분 정도는 어떨까요? 가족들과 목표를 세워 인터넷 사용 시간을 정하는 것도 좋아요. 

 

4. 가족이나 친구와 함께 있을 때는 스마트폰을 무음으로 바꾸고 다른 방에 둘 수 있게 해주세요. 

 

5. 자리에 눕기 전 최소 1시간 전에는 스마트폰을 끄거나 다른 곳에 두도록 해주세요. 

스마트폰은 뇌를 활성화해 잠을 못 이루게 만듭니다.

 

6. 스마트폰 활동은 줄이고 몸을 움직이는 신체활동을 의도적으로 함께 해요. 

 

7. 가능하면 이 모든 규칙을 가족들과 의논해서 세부적인 목표를 세우고, 실천할 수 있게 도와주세요. 

 

 

 

 

 


어린이과학동아

※ 본 콘텐츠는 어린이과학동아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디지털 밸런스 스스로 조절하기' 내용을 발췌, 재가공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