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 스토어

알파맘 비밀노트
바쁜 엄마를 위한 BEST 핵심!
초등 고학년, 중등, 입시정보
[영과고 A to Z] 영재학교 입시 전형 분석(하) 강화된 서류평가, 어떻게 대응할까?
2022.09.19

 

영재학교 입시 전형 분석(상) 어떤 아이들이 영재고에 입학할까? 보고 오기 (Cllick)

 

앞선 칼럼에서는 영재고 입시의 변화 추세에 대해 살펴봤죠. 이제 서류평가가 강화된 이유와 그 대응 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영재고 입시에서 서류평가가 강화된 이유 
- 2차 창의적 문제해결력 평가 변화와의 연계성

 

이런 변화는 교육부의 [영재학교, 과학고 입학전형 개선방향] 발표에 영향을 받은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영재고 입시에서는 2차, 3차 평가에서 학교의 재량적 선발권한이 막강했습니다. 즉, 학교에서 원하는 인재상을 선발하기에 있어서 2차, 3차 평가들은 충분한 거름막 역할을 해주었던 것이죠. 영재학교는 영재교육진흥법에 의거하여 운영되는 곳이기에 이것에 브레이크를 걸 수 있는 곳은 없었습니다. 오히려 이런 선발 방식이 당연하다고 여겨지는 분위기였지요. 

 

하지만 작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된 법에 의해 1차 서류 평가는 강화하고 2, 3차 평가는 단순화 및 비중이 축소되었습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2, 3차에서는 문항 수를 줄이고 정답 개방성이 높은 문제를 출제하여 입시에서의 사교육 영향력 축소를 목표로 하는 것이지요. 실제 선행이나 경시 관련 객관식이나 단답형을 최대한 배제하고 서술형이나 자료 분석 후 추론하는 형태의 문제들을 요구했습니다. 교육부에서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면서도 이전과 같이 우수한 인재를 선발하기 위해 영재고에서도 사활을 걸었겠지요? 2차 문제는 오히려 체감 난이도가 올라갔다는 평가가 지배적입니다. 

 

기존에는 정답만 찾으면 되었던 문제를, 지금은 정답을 찾아내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건을 찾거나 그 속에 있는 수과학적 원리를 하나하나 설명하는 등의 방식으로 바뀌면서 오히려 더더욱 평소의 깊이있는 학습 경험을 여실히 드러내는 시험이 되어버렸지요. 문항 수가 적어졌기 때문에 문제 하나당 조건이 많아진 것 또한 변화의 한 부분입니다. 독해능력과 빠른 상황의 재구성 능력이 없다면 오히려 큰 문제 하나씩을 뭉텅이로 날려보내게 된거죠. 

 

또한 영재고 측에서도 개방형 문제 비중을 늘리게 되면 일일이 아이들의 시험지를 살펴보면서 생각의 흐름을 읽어내는 작업, 즉 정성적인 평가를 위한 시간 투자가 필요하다보니 1차 지원에서 일정 수 이상을 탈락시킬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보여집니다. 단답형이 아닌 이상 기계적으로 채점할 수는 없는 일이니까요. 정말 어려운 일이지요 ㅠㅠ 

 

 

 


하나도 쉬운 것이 없는 영재고 단계별 전형 
- 각 학교들이 요구하는 수준을 미리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통 이렇게 2차 시험 이후 3차 캠프까지 가는 인원은 최종 선발 인원의 1.2배수에서 1.5배수 정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캠프에서는 창의적 문제해결력, 협동 및 협업능력, 토론능력, 그리고 인성까지를 망라해서 아이들을 면밀히 관찰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비 또한 중요합니다. 1차부터 3차까지 쉬운게 하나도 없는 영재고 입시, 사교육으로 점철된 아이들만의 리그라는 비판을 의식한 정부가 입시의 방향을 급선회하면서 부작용이 적지 않은 것은 사실입니다. 

 

오히려 입시의 판도가 바뀌면서 이들 학교가 요구하는 깊이 있는 학습을 경험할 수 있는 곳이 아니라면 더욱 불리해진 것이 아니냐는 원성도 높은데요. 저도 상당부분 공감하는 부분입니다. 차라리 경시나 중고등심화에 해당하는 내용들은 온라인 강의 등 접할 수 있는 접점이라도 있지만, 이런 개방형 문제들에 대한 재빠른 접근은 일선 학교에서는 감당할 수 있는 것이 아니죠.

 

이게 현실입니다. 결국 가장 빠른 대응을 하는 것은 유명 학군지의 학원가가 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듭니다. 실제 이런 문제 유형이 등장하고나서 학원가에서는 비슷한 문제 유형을 연구하는 곳에 투자하고, 자소서부터 창의적 문제, 면접까지 이를 체계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고급 인력들을 확보하는 등의 대대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니 말이지요. 

 

 

개인적인 소회는 여기까지만 하고요...^^

 

일단 이 학교들이 요구하는 수준을 정확히 파악해보시기 위해서는 세종, 인천, 대구, 광주 4개 영재고에서 공동출제한 2단계 문항, 그리고 그 외 영재학교에서의 2차 기출문제를 구해서 살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기출문제는 각 학교 홈페이지에서 쉽게 찾아보실 수 있고 각종 영과고 대비 유명 학원이나 강사들의 유튜브를 통해서도 일부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문제가 어려우므로 문제 해석을 겸해서 살펴보시기 위해서는 위에서 말씀드린 영과고 대비에 잔뼈가 굵은 유명 학원이나 강사분들의 유튜브를 살펴보시는 것이 바람직하시리라 생각합니다. 가능하다면 이전 기출문제와 비교해보면서 어떤 변화를 겪고 있는지 그 뉘앙스를 살펴보시는 것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영과고 입시에서 철저한 스케줄링이 중요한 이유

 

영재고의 입시는 6월 초 지원을 시작으로 하여 8월 말 최종 합격자 발표로 마무리됩니다. 합격자들은 그동안 마무리하지 못한 수학 고등 진도들을 달려야 하고, (영재고는 대부분 기숙이고, 심화학습을 하기 때문에 그에 맞는 준비로 미리 기초적으로 고등 학습을 준비하게 됩니다.) 수과학에 매진하느라 손놓고 있던 영어 공부를 하는 등 시간을 보내게 됩니다. 아쉽게 영재고에 합격하지 못했다 하더라도 이후 시작하는 과학고 대비에 열을 올리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과학고 입시도 영재고 입시에 준해서 난이도가 높아지고 있고, 서류평가, 출석면담 및 소집면접까지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기에 차근차근 영재고 대비를 밟아온 친구들이 유리한 것이 사실입니다. 더군다나 개방형문제를 강조하는 흐름은 영과고와 다르지 않으니까요. 영재고와 과학고의 입시가 맞닿아 있다보니 이에 대한 철저한 입시 스케줄링을 계획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영재고&과학고 입시의 모든 것, 영과고 A to Z 시리즈 ▼

 

1편 영재학교&과학고가 인기 있는 이유? (상)

2편 영재학교&과학고가 인기 있는 이유? (하)

3편 영재학교 입시 전형 분석 - 어떤 아이들이 영재고에 입학할까?

4편 영재학교 입시 전형 분석 - 강화된 영재고 서류펑가, 어떻게 대응할까?

5편 과학고 입시 전형 분석 - 과학고 입시 전형의 꽃, 면접

 

 

 

저자
손아름 원장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현재 대치동 에스온수리영재아카데미 대표로 있습니다. 고등에서부터 강의를 시작했지만 학생들에게는 초등때부터의 제대로 된 교육이 절실하다는 생각에 초중등 대상 수업으로 뛰어들어 현재까지 10여년 동안 대치동에서 수학강의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강의 뿐 아니라 학부모 대상 입시 설명회, 수학교재 집필 등을 하며 입시와 교육의 최전선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MBC <공부가 머니?>에 영재교육 전문가로 출연했고 <대치동 초등 로드맵> <수학에 심장을 달다>집필, <대치동 명강사들의 10인 10색 관리법>에 참여했습니다. 

 

▶ 유튜브 [대치동 손대장]

▶ 카카오톡 오픈채팅 [서울대 가는 대치동 초중공부법 @손T네 수학맛집]

▶ 밴드 [대치 에스온 수리영재아카데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