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 스토어

알파맘 비밀노트
바쁜 엄마를 위한 BEST 핵심!
미취학, 초등 저학년, 정서발달, 학습법·노하우
초등학생, 악플보다 심각한 악필 교정 노하우
2022.10.21

 

 

아동기에는 집중력 향상과 육체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바른 글씨 쓰기가 더욱 중요한 시점이에요. 
하지만 갈수록 손글씨 쓰는 일이 적어지면서 '악필'로 굳어지는 어린이가 늘고 있어요. 
최근 기사에 따르면 초등학생 3명 중 1명은 글씨를 알아보기 힘들 만큼 악필이라고 해요. 

 

 

 

스마트기기 사용의 보편화로 늘어나는 악필 사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업의 증가 및 디지털 교육의 증가로 종이에 글씨를 쓰는 일보다, 스마트기기로 공부하는 학생이 더 많아졌기 때문인데요. 
수업시간 뿐만 아니라, 이 외의 가정 활동에서도 손글씨를 쓰는 일이 현저히 줄어들었어요.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지만, 서술형 평가가 늘어나는 추세인 만큼 악필보다는 알아보기 좋은 글씨를 쓰는 것이 좋겠죠? 

 

 

글씨 잘 쓰는 아이가 공부도 잘한다(?)

 

글씨 쓰기가 우둥생과 열등생을 가르는 척도는 아니지만, 글씨를 잘 쓸수록 공부를 잘 할 확률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어요. 버지니아 버닝거 워싱턴대 교육심리학과 교수는
"다수의 연구에서 손글씨를 잘 쓰는 것이 정신적 측면에서 내면과 깊게 연관돼 있다는 점이 입증됐다"며 "손글씨는 종이에 글자를 직접 적으며 직접 느낀다는 점에서 아이들의 집중력을 향상시킨다"고 했어요. 또한 "적어도 초등학교 2학년까지는 손글씨 위주로 글씨를 배운 뒤, 키보드 타이핑을 배우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덧붙였어요. 

실제로 글씨를 쓰는 일은 균형감각, 두뇌발달, 자기관리 능력, 읽기와 말하기 등의 능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요.
연필을 쥐고 글씨를 쓰는 과정을 통해 두뇌 자극이 일어나게 됩니다. 소뇌와 운동중추가 발달하게 되는 거죠. 또한 자신의 글을 직접 손으로 쓰는 과정을 거치면서 기록한 내용을 더 쉽고 오래 기억하기도 해요.
지우개로 지워가며 글을 쓰는 과정에서 사고력도 자연스럽게 길러지게 되죠. 하지만 손글씨를 '잘' 쓰려면 어떻게 해야하는 걸까요?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을 우선하는 게 중요합니다. 

 

 

 

악필을 교정하기 위한 기본 방법

 

 

1. 가장 중요한 것은 바른 자세와 편안한 마음가짐 

마음이 편안한 상태에서 바른 자세로 글을 쓸 때, 가장 글씨가 바르게 나옵니다. 글씨가 그 사람의 모든 것을 대변해주진 않지만, 글씨를 익히는 과정에서 들인 바른 습관이 평생을 갈 수 있어요. 
따라서 글씨를 쓸 때는 최대한 쫓기지 않는 편안한 상태에서 쓰는 것이 좋아요. 성격이 글씨에 영향을 미치기도 해요. 성격이 급하면 악필이 될 가능성이 있죠. 마음 정서를 기를 때, 서예를 배우는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에요. 한 글자를 써도 정성스럽게 쓰면 알아보지 못할 글씨는 없죠. 

 

 

2. 시작은 고딕체로, 이후에는 감각적인 글씨도 OK! 

고딕체는 다른 글씨체에 비해 굴곡이 덜하고, 직선의 곧은 형태의 글씨여서 초등학생들이 연필을 쥐고 일정한 힘을 주고 따라 쓰기 좋은 글씨체예요. 처음부터 특이하거나 감각적인 글씨체를 따라 쓰기보다, 
곧고 바른 글씨체를 우선 따라 써보는 게 좋아요. 고딕체를 잘 따라 쓸 수 있게 되면, 이후에는 다른 글씨체를 흉내내면서 글씨 한 획  한 획이 어떻게 모양을 이루는지 느껴볼 수 있을 거예요. 
글씨의 높낮이나, 크기에 따라 느낌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도 스스로 깨달을 수 있죠. 글씨 쓰기는 처음 길들이기가 어렵지 한번 재미를 붙이면 시간 가는 줄 모르는 학습이기도 해요. 

 

 

3. 큰 글씨 먼저 연습하고, 익숙해지면 작은 글씨 쓰기에 도전해요. 

작은 글씨는 큰 글씨에 비해 연필을 쥐고 쓸 때 더 섬세한 근육 감각이 필요해요. 처음부터 작은 글씨를 쓰려고 하기보다, 큰 글씨를 쓰며 글자 모양 자체에 익숙해지는 연습이 필요해요.
또, 노트는 아무것도 그려지지 않는 무지보다는 줄노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글씨의 높낮이나 크기를 줄에 맞춰 신경쓸 수 있죠. 

 

 

4. 소근육을 길러주세요: 각지고 단단한 연필을 사용하기 

디지털 교육의 증가로 전자기기에 노출된 아이들은 더욱이 터치식의 학습 방법이 익숙해서 연필을 쥘 때 사용하는 손가락 근육이 충분히 발달하지 못하고 있어요.
손 근육, 손 재주를 발달시키지 못한 채 학교에 입학한 아이들은 오래 연필을 쥐고 있는 걸 어려워하죠. 소근육을 단련시킬 충분한 기회를 주어야, 학교에서도 오랜 시간 연필을 쥐고 있을 수 있어요. 

 

 글씨 연습을 할 수 있는 다양한 필기구 중 왜 연필일까요? 
- 지우고 다시 쓸 수 있어요. 제대로 된 문장을 완성하는 과정을 직접 거치는 거죠. 
- 구조가 단순하고 쓰기 쉬워요. 닳으면 바로 연필깎이로 깎을 수 있어요. 샤프나 볼펜을 사용할 때 생기는 자질구레한 불편함이 없어요. 
- 연필 쥐는 법을 더욱 쉽게 배울 수 있어요. 
- 글씨 교정에 유리해요. 볼펜보다 심이 굵고, 잘 미끄러지지도 않죠. 
- 몸소 배우는 자연 환경. 연필 한 자루를 몽땅 연필이 될 때까지 써보는 전 과정에서 아이들은 다른 제품에 비해 친환경적인 나무, 흑연으로 만든 연필에서 자연 보호의 중요성도 배울 수 있어요. 

 

대부분의 연필은 육각형으로 각이 져 있습니다. 그래서 손에 쥐면 밀착되면서 손 안에 착 감기죠. 자연스럽게 손의 감각으로 연필 쥐는 법을 익힐 수 있어요. 
소근육 힘이 없는 아이들은 처음부터 일반 두께의 연필을 사용하기 보다, 심이 단단하여 글씨가 잘 써지는 두꺼운 연필에서 점차 가볍고 얇은 연필을 사용하는 쪽으로 연필 구매를 신경써주세요. 
아이들에게 연필로 글씨 쓰는 일이 아프고 어려운 일이 되어서는 안되겠죠? 

 

 

 

▲  어린아이 전용으로 두껍게 나온 삼각형 점보 연필 (스태들러)  

 

 

 

 

 

 

연필을 잡을 때 우리는 보통 3개의 손가락을 사용해요. 삼각형 연필은 3개의 변에 각각 손가락을 하나씩 대면 편하게 잡을 수 있어요. 그런데 삼각형 연필을 유심히 관찰해 보면, 반듯한 직선으로 이뤄진 삼각형이 아니라 살짝 볼록한 삼각형이라는 걸 알 수 있어요. 이렇게 볼록한 삼각형을 '뢸로 삼각형'이라고 해요. 뢸로 삼각형의 특징은 위의 그림처럼 굴러갈 때 폭이 일정하다는 거예요. 

 

뢸로 삼각형 모양의 연필은 육각형 연필보다 각 손가락에 닿는 연필의 넓이가 넓어 연필이 잘 흔들리지 않아요. 그래서 글쓰기 연습을 할 때 좋죠. 
연필심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쓸 수 있는 2B가 적당해요. 

 

 

 

 

 

 

잠깐, 연필이 육각형인 이유? 

 

최초의 육각형 연필은 1560년 무렵에 처음 탄생했어요.
이탈리아의 어느 부부가 납작한 막대기 사이에 흑연★을 샌드위치처럼 끼워 넣었지요.

 

그 후 몇 년 뒤, 영국에서 질 좋은 흑연이 발견되면서 나무나 종이 사이에 가늘고 긴 흑연을 넣어 사용하게 됐어요.
본격적으로 공장에서 연필을 만든 건 독일이었어요. ‘파버카스텔’이 라는 회사는 1761년부터 지금까지 무려 260년이 넘도록 연필을 만들고 있어요.
파버카스텔은 연필의 모양, 길이, 그리고 연필심의 성질 등을 연구했지요. 그 결과 육각형 모양의 연필을 만들게 됐어요. 1905년에 만든 ‘카스텔9000’은 최초의 육각형 연필이에요.

 


H? B? 연필심 구분

 

연필심의 단단함과 진함 정도에 따라 연필을 18가지 종류로 나누고, 종류에 따라 H(Hard, 단단함), B(Black, 진함) 기호로 표시했어요.
H 앞의 숫자가 클수록 딱딱하고 흐린 연필이고, B 앞의 숫자가 클수록 무르고 짙은 연필이지요.
4B 연필은 부드러우면서 명암(밝고 어두움)을 나타내기 편리해서 미술에 많이 쓰여요.
학습용 필기에는 HB나 B가 더 적합하지요. H와 B 외에도 ‘굳은(Firm)’이라는 뜻의 기호 F도 있지만 널리 쓰이진 않아요.

 

 

 


어린이수학동아

※ 본 콘텐츠는 어린이수학동아 '[출동! 슈퍼M] 연필은 왜 육각형인가요?' 내용을 발췌, 재가공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