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 스토어

알파맘 비밀노트
바쁜 엄마를 위한 BEST 핵심!
초등 저학년, 초등 고학년, 입시정보
우리 아이가 영재원에 잘 맞을지 궁금한가요? 선생님이 알려주는 영재원은 이런 곳!
2022.12.27

 

영재 교육 기관에서는 어떤 공부를 할까?


올 겨울 영재 교육 기관 입시가 끝났습니다. 영재 교육 기관시험이나 추천 선발 같은 말을 들으면 아직 저학년 학부모님이나 영재교육에대해서 정보가 없으신 학부모님들은 영재교육원에
서는 도대체 어떤 것을 배울까 많이들 궁금해 하십니다. 지역, 영재교육기관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지만 제가 근무하는 경기도 지역을 기준으로 영재교육원에 대해서 어떤 것을 배우는 지
말씀드리려 합니다.

 

 

영재교육기관의 종류?


영재교육 진흥법에 따르면 영재교육기관이란 영재 학급, 영재교육원을 합쳐 부르는 말입니다. 영재학급은 학교에 설치되어있는 영재 교육 기관, 영재교육원은 학교, 대학, 교육청에 소
속되어 따로 설립되어있는 기관을 의미합니다. 크게 차이점이 안 와닿으시다면 정확한 설명은 아니지만 영재학급은 학교에, 영재교육원은 대학이나 교육청에서 수업하는 기관으로 통한다는
것을 말씀드립니다. 두 기관은 종류와 규모는 다를 수 있지만 잠재력이 우수한 학생을 길러내기 위한 교육 기관이라는 공통점이 있답니다.

 

 

어떤 것을 가르치는지?


영재 교육 기관에서는 그럼 어떤 것을 가르칠까요? 주로 수학, 과학, 융합과 같은 주제를 가르치는 곳이 대부분이며 일부 대학 부설 영재교육원에서는 언어나 예술 관련 영재를 위한 교
육과정이 있기도 합니다. 영역에 따라서 최신 기술의 동향이나, 기존 학교 교육과정에서는 다루지 않는 주제를 중심으로 수업을 합니다.
때문에 영재 교육 기관을 단순히 수학 과학 심화 학원, 창의력 학원과 다를 것이 없다는 말도 들려옵니다. 그러나 영재 교육 기관 한 해 살이의 도착점은 항상 학생의 탐구와 그에 대한 결과(산출물)이랍니다. 

 

 

그럼 영재 교육 기관의 한 해 흐름을 간단히 살펴볼까요?


가장 먼저 선발된 학생들을 대상으로 주제당 16~20시간정도의 수업을 진행합니다. 주제는 보통 과학, 수학, SW•AI 등 정규 교육과정에서 심화된 주제를 바탕으로 선정됩니다. 이 과정에서 강의를 듣기도 하지만 주로 실험, 토론 등을 하며 영재 교육 대상자의 역량을 끌어냅니다. 기관마다 잡힌 시간이 다르지만 제가 있는 지역에서는 보통 4~5개의 주제가 교육과정으로
잡혀 있습니다. 그리고 중간에 산출물 지도를 받습니다. 학생별로 담당 산출물 교사가 지정되고 학생이 평소에 궁금해 하는 것, 실험해보고 싶어하는 것에 대한 이야기를 듣습니다. 또, 탐구한 내용을 표현하기 위해 보고서 작성법이나 실험법에 대해서 배우게 됩니다.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자율적으로 탐구를 실행하고, 연말에 보고서나 전시 등을 통해 자신이 탐구한 내용을 발표하게 됩니다.
이 산출물 지도 과정을 한 학기동안 투자하는 영재 교육 기관도 있을 정도로 영재 교육에서 학생이 스스로 한 탐구 산출물은 중점을 두는 사항이랍니다.

 

 

우리 아이가 영재 교육 기관과 어울릴까요?

 

시험을 100점 받는 아이와 95점 받는 아이 중 영재는 누구일까요? '정답은 알 수 없다'입니다. 영재성을 판별하는 기준은 물론 다른 학생들보다 뛰어난 잠재력도 있지만 과제에 대한 집착력, 창의성 등 일반 교육과정에서 판단할 수 없는 영역이 더 많은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위에서 서술한 영재 교육 기관의 흐름에서도 알 수 있듯 영재 교육 기관에서는 스스로 궁금한 주제를 탐구하고 결과물을 내는 산출물이 중요합니다. 때문에 영재 교육 기관에 가서도 ‘잘’하려면 어떠한 주제에 대한 호기심과 이를 끈기있게 탐구하려는 과제 집착 능력이 있는 지 살펴보시는 것이 중요하답니다.

 

 

 

 

저자
이가영 교사

(이미지 출처: 비바샘)

 

수내초등학교 영재학급 지도강사 (2018~2020)

성남매송초등학교 영재학급 지도강사 (2019)

2022학년도 경기미래영재교육원 창의융합상상소 지도교사

수내초등학교 SW자율동아리 프로젝트 지도 (2019~2020)

경기도 융합과학교육원 교육용 융합자료 영상 개발 (초 5,6수학)

서울특별시교육청연수원 2021 초등 재미와 의미를 다잡는 게임형 수업 연수 (2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