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STEM 교육에 집중하는 일, 미래 직업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을까?
몇 해 전 세계제포럼(WEF)이 발간한 “미래직업 보고서(The Future of Jobs Report)”에서, 지금 초등교육을 받기 시작하는 어린이들의 65%는 성인이 되어 현재는 존재조차 하지 않는 직업을 가지게 될 것이라고 예측한 바 있습니다. 당시에는 실감하기 꽤나 무리가 있는 얘기로 받아들여졌는데, 최근 들어 ChatGPT와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과 각종 무인/자동화 시스템이 일상 속에 확산되고 있는 속도로 비추어 보아 상당히 현실감 있게 다가옵니다.
미래의 직업세계는 근래의 폭발적 기술 혁신 속도와 사회 변혁, 세계 경제의 복잡한 역학 관계 속에서 근원적인 변화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우리 아이들이 어른이 되어 직업을 가지게 될 때에 세상은 어떤 곳이 되어 있을까요? 우리 아이들은 어떤 준비를 통해 어떤 경쟁력을 가지고 있어야, 원하는 직업을 가지고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을까요?
빠르게 진화하고 있는 최근의 산업 환경과 직업 시장에서 속에서, 과학과 기술에 기반한 역량과 이해도가 개인의 직업 경쟁력에 있어 프리미엄이 된다는 사실에는 이견이 없을 것입니다. STE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에 대한 기초적 이해도는 모든 직업에 걸쳐 필요시 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성장하고 있는 직업군은 직접적으로 STEM 영역에 속해 있습니다. 산업과 경제의 대부분 영역에 다양한 기술들이 접목되어 가면서 이러한 경향은 가속화될 수밖에 없는데요, 따라서 STEM 교육의 중요성은 간과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미국 노동청 자료에 따르면, 2021~31년까지 전체 시장의 고용 성장률은 5%인 반면, STEM 분야의 고용 성장률은 11%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했으며, STEM 직종의 소득은 非STEM 직종 대비 30%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래 직업을 위한 개인 차원의 경쟁력을 넘어서, 국가 차원에서의 STEM 역량 확보는 더더욱 중요합니다. 과학, 기술, 엔지니어링, 수학 분야에서의 획기적인 돌파구 발굴과 혁신, 연구개발과 실행을 이끌어내는 STEM 인재들이 결국 자국의 경제적, 기술적 우위를 높이고 있습니다. 혁신 기술의 개발이 국가 발전의 주요 원동력으로 부각되면서 STEM 영역의 교육에 대한 중요성은 나날이 부각될 수밖에 없는데, 그래서 미래를 위한 국가적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북미와 유럽, 중국 등 국가들은 모두 STEM 교육을 이미 10여년 전부터 정책적으로 강조하고 있습니다. 국가의 미래 혁신 기술 개발의 원천은 오늘의 그 나라 학생들이 받는 STEM 교육에 있기 때문이지요.
세계 경쟁 구도 속에서 경제와 국가 안보의 패권을 강화하고 유지하기 위한 큰 그림 속에서 체계적인 STEM 교육 강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는 국가로 미국이 대표적인 사례가 될 수 있습니다. 미국은 2009년 오바마 행정부 시절부터 정부 주도로 국가 차원의 STEM 교육 강화를 추진해왔으며, 2013년부터는 5개년 전략을 수립하여 교육청과 국립과학기술자문위원회가 주체가 되어 매년 백악관에 경과를 보고하도록 했습니다. 전략의 일환으로 2017년 정부 예산 수립 시에는 상징적으로 무려 3조원의 예산을 STEM 교육에 책정하여 K-12 공교육 과정과 대학 과정을 위한 STEM 교사 육성과 커리큘럼의 개발과 확대 등을 추진한 바도 있으며, 2013년에 시작된 STEM 교육 강화 5개년 전략 수립과 연간 경과 보고는 두번의 정권 변화 속에서도 2023년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는 중입니다.
결론적으로, STEM 교육은 격변하는 시대 속에 우리 아이들이 미래에 안정적인 직업을 가질 수 있는 경쟁력을 확보하는 수단이 되며, 나아가 세계 경제 속에서 국가가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이 될 것입니다. 우리 아이들을 글로벌 리더를 키우기 위해 어떤 준비와 노력이 필요한지, 참고해 볼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
저자
똑똑하마 김지영 대표
하버드 MBA를 졸업하고 외국계 컨설팅 회사, 증권사, 인터넷 기업을 거쳐 삼성에서 최연소 여성임원으로 오랜 기간 재임했습니다. 현재는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 Math) 과학놀이 키트 ‘똑똑하마’를 만드는 ㈜이큅을 창업해 운영하고 있으며, 두 초등학생 아이들을 키우는 엄마로서 이들이 살아갈 미래 사회와 교육에 대해 공부하고 있습니다.
▶ 똑똑하마 유튜브